지질시대 순서 및 특징 알아보기

과학정보 / / 2021. 7. 27. 23:44

지질시대 순서

지질시대 순서 알아보면 지층 내 표준화석 급변화와 부정합 같은 큰 지각변동을 기준으로 구분하는데 단위는 큰것부터 차례대로 누대 대 기 세 등이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듣는 지질시대 특징 고생대 중생대 신생대는 대에 속하고 선캄브리아 시대는 현생누대 전인 원생누대 시생누대 명왕누대를 합한 기간을 말합니다.  지질시대 환경과 기후 또한 신생대 표준화석 부정합 고생대 중생대 선캄브리아시대로 나뉘는데 지질시대 표 아래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지질시대 표
지질시대 표

지질시대 정리

  • 신생대 : 지질시대 구분 중 가장 최근 시대이며 중생대 끝난 6600만년 이후로 현재까지를 말함
  • 표준화석 : 특정시기에만 살아 발견된 층을 구별하고 층 나이를 알려주는 화석
  • 부정합 : 퇴적이 중단되거나 먼저 퇴적된 층 일부를 잃어버린 상태에서 다시 퇴적이 되어 시간적인 공백이 있음
  • 고생대 : 지질시대 현생 누대를 동물화석 변천에 입각해서 3분한 것 중 초기 대
  • 중생대 : 지질시대 한 시기
  • 선캄브리아시대 : 지질시대 중 고생대 최초 시대인 캄브리아기를 앞선 시대

선캄브리아 시대

지질시대에서 5억 4천만 년 이전의 시대를 선캄브리아 시대라고 하는데25억 년 전을 경계로 시생누대와 원생누대로 나뉘어서  40억 년 이전을 명왕누대라고 한답니다. 이 시기 암석은 오랜 지질시대를 지나는 동안 여러 차례의 지각변동을 받아 대부분 변성암과 화성암으로 변했는데 구조도 일반적으로 엄청 복잡합니다.

 

고생대 시대

고생대 시대 이후 지구의 역사는 아주 잘 알려져 있는데 고생대 이후 퇴적암류는 대부분 변성되지 않았을 뿐 아니라 화석이 다량으로 산출되기 때문인 것입니다. 특히  고생대는 약 5억 4100만 년 전에서 2억 5200만 년 전까지 약 2억 8900만 년간 지속되었습니다. 

중생대 시대

중생대는 2억 5200만 년 전부터 6600만 년 전까지의 시기로, 약 1억 8600만 년간 지속되었는데 특히 초기 트라이아스기, 중기의 쥐라기, 후기의 백악기로 나뉜다. 파충류와 겉씨식물이 크게 번성하였답니다. 그래서 중생대를 다른 말로 파충류의 시대 또는 식물의 시대라고도 합니다. 

 

신생대 시대

신생대 시대는 6600만 년 전부터 현세에 이르는 지질시대의 마지막 시기입니다. 특히 신생대 초기에는 현재 지구상의 대륙과 해양이 대체적인 윤곽을 드러내기 시작하여 점차 시간이 흐르면서 그 모습을 갖추었습니다. 그런데 생물계에서는 포유류와 속씨식물이 급격히 번성하여 현재의 동·식물계를 이루게 되었고 제4기에는 인류가 출현하여 현대인으로 진화하였습니다. 인류 최근과 가장 비슷한 지질시대 순서가 바로 신생대 시대입니다. 

 

지질시대 길이

지질시대 화석은 질시대 구분 하는 유효 기준이지만 지질시대 연령을 연 단위로 측정하기 불충분합니다. 19세기부터 지질시대를 절대연령이라고 하는 연단위로 측정하려는 시도가 있었는데 20세기 와서 암석 절대연령 측정에 방사성동위원소 이용법이 개발되었습니다. 

 

방사성동위원소 방법은 우라늄 같은 일정한 속도로 소소히 붕괴되어 납 같은 안정원소로 변하는데 이때 암석 속에서 모원소와 자원소 비와 그 변화율을 측정해서 암석 생성연대를 측정하는 것입니다. 지질시대 단위 절대연령이 밝혀졌습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댓글을 달아 주세요

TistoryWhaleSkin3.4">